![]() 경상북도청소년진흥원(원장 윤정길)은 10월 30일부터 31일(토)까지 1박 2일간 경상북도청소년수련원에서 ‘경상북도 청소년정책페스티벌(이하 정책페스티벌)’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페스티벌은 최초로 경북도내 지역별 참여기구들이 모두 모인 자리로서 도내 청소년 참여기구인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및 운영위원회의 위원들과 기자단, 청소년 지도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1일차인 30일에는 정책페스티벌의 주된 프로그램인 ‘청소년정책 제안대회’, 10개월간의 활동을 소개하는 ‘참여기구 활동 발표대회’ 및 청소년 동아리 공연과 시상식이 열렸다. 정책제안대회에서 문경시청소년참여기구인 ‘청․아’는 노인센터나 경로당은 많은 반면 청소년문화공간이 시(市) 내 한 곳밖에 없는 점을 착안해 침체된 경로당을 청소년 휴식공간인 ‘도담도담’으로 설치․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해 최우수상인 경상북도지사상을 수상했다. 심사위원 중 한 명인 김정현 사무관은 “‘청소년사회적협동조합’을 구성하고 ‘도담 마일리지’활용하는 등의 발상이 기발했고 청소년들도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여 청소년 주도적인 사회참여 분위기를 확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내렸다.”라고 전했다. 그 외에도 청소년 의무 투표제인 ‘OBFY정책’과 지역축제장에 청소년 통역봉사자를 활용하는 제안을 한 군위군과 안동시청소년참여위원회가 각각 우수상인 경상북도청소년진흥원장상을 받았다. 활동사례부문에서는 포항시청소년참여위원회가 경상북도지사상을, 구미시청소년기자단과 문경시청소년참여기구“청․아”가 경상북도청소년진흥원장상을 받았다. 특히 문경시청소년참여기구인 “청․아”는 정책제안부문과 활동사례부문 모두에서 각각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수상하며 청소년참여기구로서 그 저력을 과시했다. 2일차인 31일에는 ‘청소년 희망특강’이 열려 이전에 청소년참여기구에서 활동을 했던 김도원(경희대 행정학과)씨가 멘토로서 경험담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그 이후 폐회식 및 단체사진 촬영으로 1박 2일의 일정을 모두 마쳤다. 이번 정책페스티벌에 참여한 한 참가자는 “다른 지역의 위원들과도 서로 알게 되어서 좋았다. 같은 활동을 하고 있어 쉽게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그래서 짧은 시간에도 금세 친해질 수 있었다. 여러 가지 정보도 공유하고 앞으로 활동하는데 써볼만한 아이디어도 얻어갈 수 있어 도움이 많이 되었다.”라고 전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