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영덕 괴시마을」국가민속문화재 지정

국가민속문화재 제301호로 지정 고시

[경북투데이보도국] === 영덕군 영해면의영덕 괴시마을이 문화와 전통이 잘 전승·보존되고 있는 민속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민속문화재 제301호로 지정 고시되었다.

 

국가민속문화재는 전통적 생활양식과 민속문화 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국가 법률에 의해 지정하는 문화재로, 이번에 지정 고시된영덕 괴시마을은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마을로는 전국에서 8번째이다. 이로써 영덕군은 기존 7개 국가지정문화재(보물 2, 천연기념물 1, 국가민속문화재 4)에 더하여 8번째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하게 되었다.

 

영덕 괴시마을은 오랜 역사를 가진 마을로 고려 말의 대학자이자 고려말 신진사대부의 스승이신 목은 이색선생이 태어나신 것으로도 유명하다. 함창김씨(목은 이색의 외가)800여년 전에 처음 터를 잡은 이후에 여러 성씨가 거주하였고, 현재는 영양남씨가 400여년 동안 세거하고 있다. 경북 북부 해안지방에서 현재까지 단일 문중의 역사와 문화가 전승·유지되고 있는 대표적인 반촌마을이라 할 수 있다.

마을 내에는 도민속문화재 4, 문화재자료 12호를 비롯하여 약 40 호의 전통가옥과 전통적인 마을 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다. 마을 내 가옥 대부분은 안동 지역의 반촌에서 볼 수 있는 뜰집(안채·사랑채·부속채 등의 가옥 공간이 하나로 연결된 자형의 주택)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옥 구조의 유사성은 안동지역에서 태백산맥을 거쳐 영덕에 이르는 건축문화의 전파와 인적 교류 등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학술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건축 구조적인 유사성 이외에도 괴시마을의 뜰집은 사랑채가 돌출된 날개집 형태를 취하고 있는 특징이 있는데, 학문 연구와 손님을 접대하는 문화에 영향을 받은 구조인 점에서도 그 의미가 깊다. 또한 상방 전면에 사당으로 제사의 제물을 나르는 통로인 통래퇴칸(通來退間) 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공간인 감실도 괴시마을 뜰집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이밖에 괴시마을에는 뜰집의 형식성을 탈피하여 실용성에 초점을 둔 양통집(하나의 지붕 아래에 안방과 사랑방 등의 공간을 2열로 연접하여 배치한 주택)으로 변화한 가옥들도 마을에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가옥들도 조선 후기의 주택 건축의 변화와 다양성을 보여 준다는 면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괴시마을에는 주거를 위한 가옥들 이외에도 양반 가문으로서의 역사와 문화를 드러내는 정자와 재실이 함께 있는데, 하나의 마을에 이렇게 많은 건축문화재가 함께 어우러져 있는 경우는 전국적으로도 매우 드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본래 영덕 괴시마을이 위치한 영덕 영해지역은 조선시대에 영해부(寧海府)로 인근 지역을 아우르는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였다. 유학이 발전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한 유서 깊은 고장으로 소안동이라고 불릴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따라서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오랜 역사와 높은 수준의 문화를 보유한 고장이고, 영덕군 내에 문화재로 지정된 총 66건의 건축문화재 중에 61건이 위치하고 있을 정도로 조선시대 건축문화재도 산재되어 있다. 이번영덕 괴시마을의 국가민속문화재 지정을 계기로 영해지역의 수준 높은 역사·문화와 문화재에 대한 가치가 주목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덕군은 국가민속문화제 제301호로 지정된영덕 괴시마을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문화재청과 소유자 등과 협력하여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는 국가민속문화재로서의영덕 괴시마을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희진 영덕군수는 군내의 가치 높은 문화재를 발굴하여 국가문화재 지정 받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영덕 괴시마을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받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특히 이번 문화재 지정은 지자체와 군민 간의 합심의 결과여서 더욱 의미가 깊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들을 발굴하여 문화재로 지정하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고, 영덕 괴시마을의 국가민속문화재 지정을 계기로 영덕을 전국에서 주목 받는 역사문화도시로 발돋움시키겠다고 말했다.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봉화군, 제29회 송이축제
[ 경북투데이보도국 ] === 봉화군은 지난 16일 제29회 봉화송이축제 개막식에서 진행된 ‘제4회 오색오미 대형 비빔밥 퍼포먼스’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번 퍼포먼스는 봉화의 대표 농·축산물인 송이버섯과 한약우를 주재료로 활용해 500인분 규모의 대형 비빔밥을 조리해 관광객과 군민들에게 나누는 행사로, 축제의 서막을 화려하게 열었다. 준비된 비빔밥을 함께 비비고 나누며 화합과 풍요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이 됐다. 비빔밥 재료 손질부터 조리, 배식까지는 봉화군 우리음식연구회 회원들이 직접 참여해 정성을 더했으며, 향긋한 송이향과 한약우의 풍미가 어우러져 방문객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특히 우리음식연구회는 이번 송이축제 기간 동안 전통음식 판매 부스도 함께 운영하며 봉화의 맛과 멋을 전했다. 부스에서는 ▲찰떡 ▲시골감주 ▲사과·딸기찹쌀떡 ▲쌀아이스크림 등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전통 간식이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사과·딸기 찹쌀떡은 전통의 맛에 현대적 감각을 더한 메뉴로, 관광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었다. 최순자 봉화군 우리음식연구회 회장은 “올해도 많은 분들이 송이축제 비빔밥 퍼포먼스와 전통음식 부스를 찾아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청정 봉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