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영덕군,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힘찬 도약

- 11월부터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 대상 확대 -

[경북투데이보도국] === 영덕군(군수 이희진)은 코로나19 1차 접종 80.9%, 접종완료율 76.7%달성하여 (11.1. 기준) 일상회복을 위한 첫걸음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영덕군은 감염 및 중증사망위험, 돌파감염 등을 고려하여, 11월부터

50대 연령층, 얀센 접종자, 우선직종 직업군, 18~49세 기저질환자를

대상으로 추가접종을 확대한다.

대상군별 세부 접종계획은 다음과 같다.


대상별 예약 및 접종 일정

대상자

사전예약

예방접종

잔여백신 접종

50대 연령층

11.01.() 20:00~

11.15.~

11.01.~

 

(의료기관 예비명단 활용*)

기저질환자

11.01.() 20:00~

11.15.~

얀센백신 접종자

10.28.() 20:00~

11.08.~

우선접종 직업군

11.01.() 20:00~

11.15.~

 

우선접종 직업군은 업무 특성상 감염·전파 위험이 높아 상반기에 우선접종을

실시한 대상으로, 접종완료 후 6개월 경과자는 11 1()부터 사전예약을

통해 1115()부터 접종 받을 수 있다.

 

 

기본접종 후 6개월이 도래하는 우선접종 직업군


1차 대응요원

 

보건의료인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종사자)

 

돌봄 종사자

 

특수교육·보육, 보건교사 및 어린이집 간호인력

 

사회필수인력 (경찰, 소방, 군인 등)

 

접종백신은 기본적으로 50대 연령층, 우선접종 직업군, 18~49

기저질환자는 mRNA(화이자, 모더나)로 접종하며, 얀센 접종자는

기본적으로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이 가능하다.

접종간격은 원칙적으로 기본접종 완료 6개월이 지난 후부터, 가급적 8개월

이내에 추가접종을 시행한다.

예외사항으로, 면역저하자는 기본접종으로 면역형성이 불완전하고,

얀센백신 접종자는 돌파감염 발생 비율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기본접종 완료 2개월 이후부터 추가접종을 권고한다.

 

접종장소는 코로나 19 예방접종센터(11.17)와 위탁의료기관 12개소(상시)이다.

사전예약은 사전예약 누리집, 1339, 면 주민센터, 보건소, 콜센터에서

가능하다.

 


김정태(부군수)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단장은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감염 및 중증사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75세 이상 어르신, 요양병원 및 시설 종사자 및 입소자, 우선접종

직업군 등은 추가접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주실 것을 거듭 당부했다.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경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 도민의 삶을 바꾸는 민생 의정 실현
[ 경북투데이보도국 ] === 경상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위원장 신효광)는 2025년 상반기에도 도민의 삶 변화를 이끌어내는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에 주력하며, 도내 농어업과 농촌의 민생 현안 해결에 앞장서 왔다. 올해 농수산위원회는 정책의 실행 가능성과 지역 현장의 목소리를 균형 있게 반영하는 데 집중하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성과를 연이어 창출했다. 특히 농민의 눈높이에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정책에 충실히 반영함으로써, 농어업과 농어촌의 현실적인 과제에 발 빠르게 대응해 왔으며, 의회 본연의 기능인 정책 감시와 대안 제시에서도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경북 농수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농어촌 회복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산 사과 수입 반대…도민 생존권 수호에 앞장” 농수산위원회는 지난 7월 9일, 정부의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와 관련한 언론 보도에 즉각 대응해 긴급 성명서를 발표하고, 경북 농민들의 생존권 보호를 강하게 촉구했다. 위원회는 “국내 사과 생산의 62%를 차지하는 경북의 과수농가를 벼랑 끝으로 몰아넣는 결정”이라고 지적하며, 산업통상자원부가 한미 통상 협상 카드로 사과 수입을 언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