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1.1℃
  • 구름많음강릉 5.3℃
  • 맑음서울 3.5℃
  • 구름조금대전 4.0℃
  • 흐림대구 5.6℃
  • 흐림울산 5.0℃
  • 흐림광주 5.4℃
  • 구름조금부산 6.5℃
  • 구름많음고창 5.4℃
  • 흐림제주 8.8℃
  • 맑음강화 3.1℃
  • 흐림보은 4.6℃
  • 흐림금산 4.9℃
  • 흐림강진군 6.7℃
  • 흐림경주시 5.7℃
  • 구름조금거제 6.5℃
기상청 제공

경북교육청, 유치원·초등·특수교사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 발표

- 유치원·초등·특수학교(유치원·초등) 교사 383명 -

 


  경북교육청(교육감 임종식)27() 오전 10시에 경북교육청 홈페이지(www.gbe.kr)를 통해‘2023학년도 공립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유치원·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최종 합격자를 발표했다.

 

최종 합격자는 유치원교사 46, 초등학교교사 318, 특수학교(유치원·초등)교사 19명 등 총 383명이다.

 

이번 시험 응시자 본인의 시험과목별 점수와 순위는 127일부터 22일까지 온라인채용시스템(http://gosij.gbe.kr)에서 조회할 수 있다.

 

최종 합격자는 22일부터 17일까지 경상북도교육청연수원에서 진행하는 신규 임용예정자 직무연수를 이수한 후 31일부터 순차적으로 임용될 예정이다.

 


2023학년도 유치원·초등·특수(유치원·초등)교사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 현황

선발분야별 총괄

 

선발분야

선발

인원

지원

인원

1차 시험

합격자

2차 시험

최종 합격자

결시자

응시자

부적격

유치원

교사

일반

46

681

69

0

69

0

46

장애

4

1

0

0

0

0

0

50

682

69

0

69

0

46

초등학교

교사

일반

317

624

477

26

451

0

317

장애

25

5

1

0

1

0

1

342

629

478

26

452

0

318

특수()

교사

일반

4

25

6

0

6

0

4

장애

0

0

0

0

0

0

0

4

25

6

0

6

0

4

특수(초등)

교사

일반

15

95

23

0

23

0

15

장애

1

1

0

0

0

0

0

16

96

23

0

23

0

15

합 계

412

1,432

576

26

550

0

383

 

·여별 합격자 현황

선발분야

전체

유치원 교사

46

2(4.3%)

44(95.7%)

초등학교 교사(장애포함)

318

153(48.1%)

165(51.9%)

특수(유치원) 교사

4

1(25%)

3(75%)

특수(초등) 교사

15

4(26.7%)

11(73.3%)

합계

383

160(41.8%)

223(58.2%)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울진군,‘먼저 인사하기’정오의 스마일 방송 시작
[ 경북 투데이 보도국 ] ===== 울진군(군수 손병복)은 직원들과 함께하는 먼저 인사하기 참여방송을 한층 발전시켜, 스마트 군정 실현에 나선다. 기존의 ‘굿모닝 아침방송’과 ‘행복퇴근방송’에 이어,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 ‘정오의 스마일 방송’을 4월부터 점심시간 5분 전에 송출을 시작할 예정이다. ‘정오의 스마일 방송’은 주인의식, 인사, 배려, 협력, 공감 등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며, 이번에는 특히 AI 성우를 활용해 녹음한 방송을 송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스마트 행정을 도입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고, 직원들에게 색다른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지금까지 울진군은 ‘먼저 인사하기’ 직원 참여방송을 통해 직원들 간의 활기찬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여 밝고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만드는 데 힘써왔다. 정오의 스마일 방송은 이러한 캠페인을 한층 더 발전시켜 직원들이 점심시간 전에 서로 먼저 인사를 나누며 밝고 공직 내 분위기를 조성하고 직원 간 소통과 협력을 자연스럽게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울진군은 앞으로도 혁신적인 시도를 지속하며, 공직 내 소통과 협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