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1.1℃
  • 구름많음강릉 5.3℃
  • 맑음서울 3.5℃
  • 구름조금대전 4.0℃
  • 흐림대구 5.6℃
  • 흐림울산 5.0℃
  • 흐림광주 5.4℃
  • 구름조금부산 6.5℃
  • 구름많음고창 5.4℃
  • 흐림제주 8.8℃
  • 맑음강화 3.1℃
  • 흐림보은 4.6℃
  • 흐림금산 4.9℃
  • 흐림강진군 6.7℃
  • 흐림경주시 5.7℃
  • 구름조금거제 6.5℃
기상청 제공

상주·문경 속리산둘레길 국가숲길 지정

- 국가숲길 전국 9호 지정 -
- 속리산국립공원 구역 경북 상주․문경, 충북 보은․괴산 연결된 초광역적 숲길 -
- 산림생태 및 역사․문화적 가치 높고, 지역 간 연결성 등 높은 평가 -


{경북투데이보도국} === 경북도는 속리산국립공원 구역을 중심으로 한 상주문경의 속리산 둘레길이 산림청으로부터 국가숲길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 산림청 11.08. 발표

 

국가숲길은 산림 생태적,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아 체계적 운영관리가 필요한 숲길에 대해 산림청장이 지정고시하는 제도로, 지정 기준에 따라 현장심사와 산림청 산림복지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된다.

 


이 절차를 통해 전국 9번째 국가숲길로 지정된 속리산둘레길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총 52억원을 투입해 속리산국립공원 중심 둘레에 경북 상주문경에서부터 충북 보은괴산까지 12개 읍면을 거쳐 총208.6km가 조성연결된 초광역적 숲길이다.

 

노선거리 : 경북 71.9km(상주 33.2, 문경 38.7) / 충북 136.7km(보은 63.5, 괴산 73.2)

 

둘레길 주변에는 속리산 천왕봉문장대, 희양산, 주흘산 등 수려한 명산과 함께 산림생태가 건강하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자생하고 있고 백두대간의 깊은 품에 법주사, 봉암사 등 천년고찰이 소재해 역사문화의 가치가 높으며 조선시대 길의 대명사격인 영남대로(문경새재 등) 중추가 관통하고 자연휴양림, 천연기념물, 물이 끊이지 않은 계곡폭포 등 다양하고 가치 있는 자원이 풍부하다.

 

속리산둘레길의 가치 있고 상징성이 큰 생태자원들에 어우러진 경관과 더불어 24개 시군을 이어 208km에 이르는 장거리 도보여행길이다. 국토의 중심에 위치해 국민들의 접근이 용이하며 지역 간 연결성이 좋은 점 등이 이번 국가숲길 지정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경북도는 이번 지정을 통해 속리산둘레길의 브랜드 가치 상승에 따른 홍보 효과로 경북의 명품 산림관광자원이 새롭게 알려지며, 힐링 명소로 자리 잡아 농산촌 지역활성화, 국민건강증진 등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조현애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국가숲길인 속리산둘레길의 품질향상을 위해 주변 산림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역을 찾는 탐방객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숲길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상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숲길 관리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울진군,‘먼저 인사하기’정오의 스마일 방송 시작
[ 경북 투데이 보도국 ] ===== 울진군(군수 손병복)은 직원들과 함께하는 먼저 인사하기 참여방송을 한층 발전시켜, 스마트 군정 실현에 나선다. 기존의 ‘굿모닝 아침방송’과 ‘행복퇴근방송’에 이어,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 ‘정오의 스마일 방송’을 4월부터 점심시간 5분 전에 송출을 시작할 예정이다. ‘정오의 스마일 방송’은 주인의식, 인사, 배려, 협력, 공감 등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며, 이번에는 특히 AI 성우를 활용해 녹음한 방송을 송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스마트 행정을 도입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고, 직원들에게 색다른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지금까지 울진군은 ‘먼저 인사하기’ 직원 참여방송을 통해 직원들 간의 활기찬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여 밝고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만드는 데 힘써왔다. 정오의 스마일 방송은 이러한 캠페인을 한층 더 발전시켜 직원들이 점심시간 전에 서로 먼저 인사를 나누며 밝고 공직 내 분위기를 조성하고 직원 간 소통과 협력을 자연스럽게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울진군은 앞으로도 혁신적인 시도를 지속하며, 공직 내 소통과 협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