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옥시, '뒤늦게' 안전성 검증

등돌린 소비자, 불매운동 점점 거세져

<앵커>

그런데 이 가습기 살균제 말고도 흡입했을 때 독성이 우려되는 제품은 아직 우리 주변에 많이 있습니다. 방향제와 냄새제거제, 살충제 같은 건데요, 정부가 뒤늦게 안전성을 검증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조동찬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일상생활에서 냄새 제거제와 방향제, 살충제는 흔히 쓰이는 생활용품입니다.

하지만 분무 형태의 물질이 사람의 코를 통해 인체에 들어갔을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된 것은 없습니다.

[영화관 관계자 : 환기만으로는 잘 안 돼서 저희가 어쩔 수 없이 (방향제를) 쓰고 있는 건데, 이게 없게 되면 사실 대체할 만한 게 없습니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코로 흡입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해서는 반드시 안전성을 검증합니다.

폐뿐만 아니라 간과 콩팥 같은 다른 인체 장기에도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상일/한국환경건강연구소 소장 : 외국에서는 인간이 흡입할 가능성이 있는 거에 대해서는 반드시 흡입 독성 실험을 해서 안전한 것만 시판하도록 그렇게 하고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그것이 호흡기로 들어갈 거에 대해서는 너무 무심합니다.]

음식물도 위로 들어가면 영양분이 되지만 사레가 들어 폐로 들어가면 치사율 40%의 흡인성 폐렴을 일으킵니다.

흡입하는 물질에 대해 보다 정밀한 안전성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입니다.

환경부는 뒤늦게 내년까지 항균제나 살균제 등에 대한 안전성을 검사해 허가된 제품만 쓰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출처-sbs뉴스/http://mnews.sbs.co.kr/news/endPage.do?serviceDt=20160504015518&newsId=N1003557130&oaid=N1003556728&plink=ISSUE&cooper=SBSNEWSMOBEND)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기후위기 시대, 국토의 63% 산림...전략적 관리․활용 방안 찾다
(사)한국임업후계자협회가 27일 안동국제컨벤션센터에서 국토의 2/3인 산림과 220만 산주·임업인을 위한 ‘산림 대전환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기후변화 시대, 초대형 산불을 감당할 수 있는가?’라는 부제로, 기후위기에 대응한 산림관리 정책의 대전환을 모색하기 위해 임업인이 자발적으로 마련해 의미를 더했다. 이날 행사에는 경북도 행정부지사, 한국임업후계자협회 중앙회장을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 500여 명의 임업인들이 참석해 산림정책 전반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다. 토론회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초대형 산불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림을 단순한 보호 대상이 아닌 전략적 자산으로 전환해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공유됐다. 이우균 고려대 명예교수가 사회를 맡아 진행한 기조 발제에서는 ▴지속가능개발(SDGs) 목표 대응 산림행정(안기완 전남대 교수) ▴초대형 산불 시대의 대응 전략(박주원 경북대교수) ▴고부가가치 산림자원의 미래(김호용 한국화학연구원 책임교수) ▴산림부 승격을 중심으로 한 산림행정 구조 전환(최성준 한국임업후게자협회 사무총장) 등 산림 분야 전문가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이어진 지정토론 및 종합토론에서는 전국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