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북도, 사통팔달 도로망 구축

탄력국비예산 2조 8,504억 원 확보, 영일만고속도로 등 3개 신규추진

포항~영덕간 고속도로 건설공사 도면.

 

 

경상북도는 내년도 도로분야에 국비 28,504억 원을 확보해 포항 영일만횡단 고속도로사업을 추진하는 등 사통팔달 도로망 구축에 속도를 낸다.

 

이번 국비 확보를 통해 내년부터 시행하는 신규 사업은 포항~영덕간고속도로 중 영일만 횡단구간 등 3개 사업이 설계 추진된다.

 

설계가 완료되는 포항~안동 국도 등 14곳도 착수될 예정이다.

 

특히 포항~영덕간 고속도로 중 민자 추진구간으로 남아 있었던 영일만 횡단구간(17.1)20억 원이 반영돼 울산~포항간 고속도로와 포항~영덕간 고속도로를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일만 횡단고속도로는 해상통과 구간의 특성을 살려 해저터널, 인공섬, 해상교량 등으로 건설되며, 영일만대교(3.6)는 동해안지역의 랜드마크로 건설될 예정이다.

 

또 경북도는 상주~영덕간 5,668억 원, 포항~영덕간 1,479억 원, 포항~울산간 마무리사업 502억 원, 영천언양간 경부고속도로 확장 1,834억 원, 상주~영천 민자고속도로 5,545억원 등 주요 고속도로사업 7개 지구에 19,599억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경북의 중심을 가르는 상주~안동~영덕 간 고속도로가 준공되면 상주에서 영덕까지의 거리가 107로 단축(기존 153)되고, 소요시간도 1시간 내로 줄어 동해안과 북부권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교통체증이 심각하던 7번국도도 울산포항 간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경부고속도로 구간중 영천과 언양을 잇는 6차로 확장공사도 2017년 준공되면 부산~울산~경주~경산~대구~구미를 더욱 가깝게 연결해 유통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지역 간 산업의 연계발전을 도모하게 될 전망이다.

 

또 고속도로 기능을 보완하는 간선도로인 주요국도는 30개 지구에 5,228억 원이 투자될 예정이며, 내년에는 고령~성주간 외 5, 2017년 다인~비안간 외 5, 2018년에는 흥해~기계간 외 2곳이 준공될 예정이다.

 

아울러 국가지원지방도사업도 12건에 1,400억 원의 예산을 따내 도에서 직접 시공한다.

 

울릉일주도로 가운데 미개통구간은 2017년까지 완공하고 기존도로 개량구간은 2020년까지 마무리해 일주도로 전 구간을 완전 개통할 계획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내년에 모두 10개 노선 216에 달하는 도로가 준공과 함께 개통해 경북도내 어느 곳이나 1시간 30분 내 생활권이 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출처-경상북도청)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경북도의회 「지속가능한 경북 지역발전모델 연구회 」
[ 경북투데이보도국 ]=== 경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지속가능한 경북 지역발전모델 연구회」(대표 노성환 의원)는 2일(목) 도의회 회의실에서 ‘경북형 압축도시 모델 등 개발 및 전략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의 발표를 맡은 권대한 연구원은 중간보고에서 ▲압축도시의 국내·외 사례 및 동향 ▲경북 농촌지역의 현황 분석 ▲압축도시 도입을 통한 농촌지역 변화 전망 등을 발표하며 경북형 모델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회 대표 노성환 의원은 “경북은 지방 중소도시의 쇠퇴와 인구 감소로 도시 기능 축소와 지역경제 침체 등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지역 특성과 도민의 요구를 반영한 ‘경북형 압축도시 모델’ 개발이 필수적이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기능을 강화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속가능한 경북 지역발전모델 연구회」는 노성환 대표의원을 비롯해 박창욱, 백순창, 서석영, 신효광, 윤철남, 이철식, 이충원, 정근수, 최덕규 의원 등 총 1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회는 오는 11월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