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7.9℃
  • 맑음강릉 10.2℃
  • 맑음서울 9.0℃
  • 맑음대전 8.9℃
  • 맑음대구 12.1℃
  • 맑음울산 10.4℃
  • 맑음광주 10.5℃
  • 맑음부산 12.3℃
  • 맑음고창 8.7℃
  • 맑음제주 13.8℃
  • 맑음강화 6.1℃
  • 맑음보은 8.3℃
  • 맑음금산 9.9℃
  • 맑음강진군 10.3℃
  • 맑음경주시 8.7℃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2022 영덕 고래불 풋볼페스티벌 성공적 마무리

- 영덕군, 문체부·국체진 공모사업 ‘영덕특화 풋볼트립’ 2년차 순항 -

 

[경북투데이사회부기자 김수룡] === 영덕군의 대표적인 스포츠 축제인 ‘2022 영덕 고래불 풋볼페스티벌이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관내 축구장과 고래불해수욕장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영덕군체육회, ()브로스커뮤니케이션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유소년축구교육원·경북풋살연맹이 주관, 문화체육관광부·국민체육진흥공단이 후원하는 이번 행사에 8세 이하 축구클럽 54개 팀 및 전국의 57개 풋살팀 선수단, 지역주민, 관광객 등 약 3,000여 명의 사람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성황을 이루었다.

 

2022 영덕 고래불 풋볼페스티벌은 강구대게축구장 등 관내 축구장 2개소에서 전국 새싹가족 축구대회(어린이 축구대회)와 여성부·중등부·일반부 각 부별 고래불 전국 풋살대회를 최대 3일간 개최하고, 고래불해수욕장을 활용한 전국비치사커대회, 놀이체험존, 문화예술공연 등 프로그램을 8일 토요일 하루 동안 다채롭게 편성해 진행됐다.

 

특히 놀이체험존에 장애물형 등 9종의 에어바운스를 설치하여 가족 단위 방문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으며, 백사장 내 해변 경기장에서 펼쳐진 전국비치사커대회는 대회 참가자와 관람객 모두에게 이색적이고 즐거운 경험을 선사했다.

 

이와 함께 페스티벌 참가 기념 SNS 인증 이벤트, 푸드트럭, 초청가수 (‘싱어게인2’ 윤성) 축하공연, 불꽃놀이 등을 통해 놀거리, 먹거리, 볼거리 삼박자 모두를 충족하는 스포츠 대축제라는 호평을 얻었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행사장을 찾아 스포츠관광도시 영덕군을 찾아주신 여러분 모두를 진심으로 환영한다. 2022 영덕 풋볼 페스티벌을 개최하게 되어 무척 영광스럽고, 이번 행사를 함께한 가족 및 동료들과 소중하고 아름다운 추억 많이 쌓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영덕특화 풋볼트립은 지역을 대표하는 스포츠인 축구와 관광자원을 연계한 새로운 체류형 스포츠관광 프로그램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공모사업(지역특화 스포츠관광산업 육성사업)이다. 영덕군은 2021년에 첫 선정돼 올해로 2년 차를 맞이했으며, 이번 행사인 2022 영덕 고래불 풋볼 페스티벌은 이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2022 영덕 고래불 풋볼페스티벌의 성료와 더불어 영덕군은 1015일부터 2일간 열리는 리틀K리그 전국 유소년축구대회와 11월 중순에 열릴 2022 영덕 풋볼페스타 축구대회를 차질 없이 추진하여 영덕특화 풋볼트립 사업의 완성도를 더욱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 경북투데이보도국 skm4049@naver.com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경북도의회 교육위원회, 道교육청 행정사무감사 돌입
[ 경북투데이보도국 ] === 경상북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박채아)는 오늘 11월 7일을 시작으로 11월 20일까지, 14일간 경상북도교육청 본청과 5개 직속기관, 11개 교육지원청에 대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 돌입했다. 「지방자치법」제49조와「경상북도의회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실시되는 이번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주요 현안 사업 추진 현황과 실적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고, 교육 현안 등에 대하여 도민의 목소리를 대변할 예정이다. 감사 첫날인 11월 7일(금) 경상북도교육청 감사에서는 경상북도교육청의 교육정책에 대한 문제점과 그에 따른 다양한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조용진 부위원장(김천3, 국민의힘)>은 지방교육자치법의 개정에 따른 교육지원청 권한이 대통령에서 교육감으로 이관된 만큼 미래 교육사회 환경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학교 통폐합에 대해서는 지역민의 반감,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홍보 강화와 학교 통폐합 모범사례 전파, 컨설팅, 지역민 활용 등을 강조하여 지역 소멸이 아니라 지역 재생, 지역 재탄생을 위한 마중물임을 인식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경숙 위원(비례